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교회 개혁사_종교개혁 개요 및 루터와 칼빈의 개혁

반응형

교회 개혁사_종교개혁 개요.

 

 

개요

* 후스 : 교황의 지상권을 부인하고 오직 성경만이 유일한 권위

* 티르나겔 : 귀족-10, 성직자-5, 피지배층-85

* 마이네케 : 정신적 혁명 - 역사주의, 교회개혁

* 베자 : 교회는 개혁되었으므로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

* 사제주의 : 신부는 하나님께 대하여는 신자의 영혼을 책임지고 신자에 대하여는 하나님의 권위를 대신한다.

* 윌리암스 : 관료적(루터, 쯔빙글리, 칼빈), 급진적(재세례파, 신령파, 복음주의적 합리론자)

* 겸직제도(교직자들이 여러 직책을 맡고 그 수입과 성직록을 독점), 부재직임제도(한 사람이 동시에 두 장소에 있을 수 없으므로 겸직제도에 합법성을 부여하기 위함)

* 단테, 페트라카 : 아비뇽의 교황-교황의 바벨론포로

* 로렌조 발라 : 콘스탄틴 기증서(위조문서), 루피누스(사도신경은 사도들이 한 절씩 고백)-허구

* ad fontes : 원천에로의 복귀

* Geert Groote - 오늘의 헌신 - 공동생활 형제단

 

루터의 개혁 - 칭의론

* 비엘 : 유명론

* 스타우피츠 : 루터의 번민의 날에 가장 중요한 영향.

* 탑 속의 경험 : 믿음으로 말미암는 구원의 진리를 깨달음, 1515년

* 1517. 10. 31. : 95개조, 레오 10세.

* 잉여공로설 : 성자들의 선행이 자기 자신을 구원하고도 남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형벌을 속량

* 라이프찌히 논쟁 : 엑크, 루터, 칼슈탓트, 멜랑히톤. 최고의 권위는 성경

* 1520년 : 독일 크리스천 귀족에게 보내는 글(만인 제사장직), 교회의 바벨론 감금(성례전에 대한 비판서, 공재설), 그리스도인의 자유에 관하여

* diasphora-복음, 계시, 이신칭의. adiaphora-예배의식, 수도원 입단 서약, 성상...

* cujus regio, ejus religio : 그 땅이 속한 자에게 종교도 속한다.

* 프로테스탄드 : 1529. 4. 19.

* 마부르트 논쟁 : with, in, under. 헤세의 필립

* 필립 멜란히톤 :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서. 신학요의

* 쉬말칼텐동맹 : 개신교를 지지하는 군사 동맹

* 칼슈탓트, 쯔빌링 :

* 쯔비카우의 예언자들 : 성령의 새로운 계시 강조, 내재주의적, 주관주의적, 신비주의적 운동

 

칼빈의 개혁 - 성화론

* 멜키오르 볼마르 - 헬라어 선생이자 친구, 루터의 신학을 접함

* 회심 : 1529-1533. 1557년 시편주석 서문(subita conversio-갑작스러운 회심:1532-1533).

* 싸이코파니치아 : 첫 신학적 저술, 재세례파의 영혼수면설 비판.

* 기독교 강요 : 1535년 8월 완성, 1536년 3월 출판. 1539(2판), 1559(최종판)

* 루이스 스피츠 : 작품들의 놀랄만한 동질성을 유지.

* 1536년 5월 21일 - 복음주의적 형태의 예배만을 실시. 종교개혁이 공식적으로 단행.

* 종무국 : 목사와 장로들로 구성되는 감시위원회. 시의 질서와 훈련을 위한 치리 담당.

* 반대자들 : 정치적 반대 세력, 리베르틴파들, 신학적 입장을 달리하는 인사들(볼섹, 카스텔리오-예정과 선택 교리 부정. 세르베투스-삼위일체 교리 부정).

 

3.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

* 스코틀랜드 교회개혁운동의 선구자 - 패트릭 해밀튼(스코틀랜드 최초 순교자)

* 존 낙스 - 개혁의 중심적 인물

*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 신학적으로는 개혁신앙을 고수하면서 교회정치 형태로 장로제도를 취한 최초의 교회(장로교회라는 명칭의 이유가 됨, 감독「주교」제도와 다른 장로제도를 강조함)

* 감독과 독경사 - 감독(영국교회의 주교와는 다른 임시직으로 자기교회를 가지지 않고 주로 설교를 하는 직으로 목사와 독경사의 활동을 감독함)

독경사(평신도 가운데 모범적인 사람으로 예배시 성경을 읽는 사람. 목사의 부족으로 인한 잠정적 조치의 임시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