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수도원 운동과 제도_중세교회사

반응형

중세교회사_수도원 운동과 제도

 

 

수도원 운동은 자연과 은총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이원론의 바탕, 수도사들은 금욕주의자들

안토니우스 - 수도운동의 시작, 아타나시우스가 저술한 성 안토니우스의 생애

파코미우스 - 수도원 공동체의 첫 조직가

서방에 최초로 수도원운동을 소개한 인물은 아다나시우스

서방교회에 수도원운동의 기본 토대를 세운 인물 - 누르시아의 베네딕트

monasticism -

수도원운동의 발생과 전개의 원인

① 기독교가 국교가 되고 교회가 세속화되자 이에 대한 반동으로 금욕생활이 강조

② 교회가 조직화되고 규율화됨에 따라 신앙생활에 대한 새로운 제도를 요청하게 됨

③ 경건생활에 대한 욕망과 이원론의 영향

베네딕트 수도원

거룩한 동굴 - 사끄로 스뻬꼬(Sacro Speco)

독경, 기도와 명상, 노동, 기도하고 일하라(Ora et Labora), 가난, 순결, 순종을 강조

베네딕트 규칙서 - 재산 소유 금지, 청빈한 생활, 수도원의 공동의 재산 소유는 가능

클루니수도원의 개혁운동 - 베네딕트교단에 부패와 냉냉함에 대한 반동

① 엄격한 베네딕트 규율에 따라 수도생활이 규제

② 성직매매를 금지

③ 성직자의 결혼을 금하고 독신주의를 강조

④ 교황의 권위를 높이고자 함

그레고리 7세, 우르반 2세, 파스칼 2세

수도원은 재산 및 토지를 소유할 수 있었다.

시토수도원 - 백수도사, 베네딕트(흑수도사)

① 엄격한 수도생활을 요구하여 성직자의 기강을 확립

② 성직매매 금지

③ 성직자의 독신 강조

④ 사회개혁을 시도

성 버나드 - 유럽의 양심, 닥터 멜리플루어스(유창한 교사), 2차 십자군 원정을 가능케 한 설교가 마리아의 무오설을 반대, 세례를 구원의 필수조건으로 보는 세례관 반대, 겸손과 미덕을 강조한 세족식을 성례로 간주

탁발수도회(걸식, 구걸) - 청빈서약, 순결서약, 복종서약

수도생활의 사회화를 추구

Imitatio Christi - 익나티우스(고난, 순교) 클레멘트(겸손), 프란체스코(가난, 자의적 빈곤)

프란체스코 수도회 - 예수님의 가난과 겸손을 그리스도를 본받음의 이상으로 생각

빈곤, 독신, 순종(교황)등 3대 서약이 강조, 전도, 청빈, 봉사를 신앙원리로 삼았다.

학문을 가르칠 뿐 만 아니라 고등(대학)교육에도 힘썼다. 로저 베이컨, 보나벤투라, 둔스 스코투스, 윌리엄 옥캄 등을 배출

가난, 순종, 겸손, 헌신, 봉사, 선교

엄수파 -

수도파(완화파)

도미닉 수도회 - Dominicanes(양떼들을 한곳으로 모는 주님의 개들)

프란체스코의 그것처럼 걸식과 봉사를 강조하면서도 학문연구를 처음부터 강조하였다. 고행보다는 연구를, 의식보다는 설교를 중시.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우주박사), 토마스 아퀴나스(천사박사)

교황을 위해 이단을 진멸하려는 종교재판을 조정, 형벌집행자로 충성

어거스틴 교단 - 속세를 떠나지 않는 채로 청빈과 복종의 공동생활을 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