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교황제도의 발전과 그레고리 1세

반응형

교황제도의 발전과 그레고리 1세

 

 

* 교황 - 지상에서의 그리스도의 대리자라는 수위권을 주장 - 변질된 교회관의 결과

* 교황권에 대한 성경구절 - 마16:18 반석은 그리스도, 갈2:9 예루살렘 기둥 야고보, 게바, 요한, 갈 2:11 베드로에 대한 바울의 면책, 엡 4:11 교황이라는 직분은 없다. 벧전5:1 함께 장로된 자, 계 21:14 예루살렘 초석에 12사도 이름

* 교황제도의 역사적 발전

로마의 클레멘트, 안디옥의 익나티우스 - 이단의 발호를 막기 위해 감독직의 권위를 높임

키프리안 - 감독이 있는 곳에 교회가 있다. 감독중심의 교회관 형성에 영향을 줌, 로마 감독들이 로마교회의 우위성을 주장

니케야회의 - 로마, 알렉산드리아, 안디옥 대감독의 칭호를 수여

콘스탄티노플회의 - 콘스탄티노플 감독, 칼세돈회의 - 예루살렘 감독

4세기 말 로마의 감독 다마스 1세 마 16:18을 이용 사도적 전승을 계승한 것으로 공포

윌리엄 커닝햄 - 교회의 부패 징후 고위성직의 발생과 발전, 은혜의 교리에 대한 모호하고도 잘못된 견해의 대두, 덕과 성만찬의 효과에 대한 오도되고 과장된 개념의 대두

그레고리 1세 - 하나님의 종들 가운데서 종, 교회국가의 기초를 놓음, 교회를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떠나 로마카톨릭이라는 이단적 조직체로 이끔.

라틴교부의 4박사 - 암브로스, 제롬, 어거스틴, 그레고리 1세

파트리쿠스(Patricus) - 아일랜드의 사도, 유럽선교의 요람, 의의 흉배

화체설(transubstantiation) - 라테란회의(1215)에서 공식교리로 수납

죽은 자를 위한 기도와 성자들에게 하는 기도 - 787년 제2차 니케야회의

분향(Incense) - 터툴리안, 락탄티우스 - 이것은 이방인의 것이지 그리스도인의 의식일 수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