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회사

한국교회사

반응형

한국교회사

 

 

한국에서의 개신교 전래과정

1) 1884. 9 알렌의 입국 : 미국 북장로교 소속 선교사로서 알렌은 9월 20일 제물포에 도착. 이는 공적으로 입국한 최초의 선교사이다. 한국 최초의 신식병원인 광혜원을 설립했다.

2) 1885. 4 언더우드와 아펜젤러의 입국 : 미국 북장로회의 언더우드와 미국 북감리회의 아펜젤러는 4월 5일에 인천에 도착. 연희전문학교를 설립.

3) 미국 북 장로교의 선교 : 알렌과 언더우드를 파송함으로서 한국선교를 시작하였고 1885년 6월에 헤론이 내한하였고, 북장로교 한국 선교부가 조직되었다. 서울을 중심으로 개척전도, 의료, 교육 사업을 통해 선교사역을 시작함.

4) 호주장로교의 선교 : 1889년 10월 데이비스 목사와 그의 누이 데이비스 양에 의해 시작된 선교는 1891년 멕카이 목사 부부와 멘지스, 페리, 퍼셋 등을 한국에 파송하였다. 이들 호주장로교는 10월 부산에 도착하여 (부산, 경남을 중심) 부산, 마산, 진주, 거창, 통영에 선교지부를 설치하였다.

5) 미국 남장로교의 선교 : 테이트, 정킨, 레이놀드가 1892년 내한함으로 선교가 시작되었고, 전주에 최초의 선교지부를 세우고, 1898년 목포에 선교부를 세웠다.

6) 캐나다 장로교의 선교 : 독립선교사 게일은 1888년 12월 15일 입국하여 한국의 역사와 문화, 풍습에 관한 연구와 저술로 유명하다. 후에 하디 의사가 파송을 받아 들어왔는데 1907년 대부흥운동의 중심인물로 큰 기여를 하였다. 멕켄지가 독립선교사로 입국 후 죽었는데, 그의 죽음을 통해 캐나다 장로교는 푸트목사 부부, 그리어손 의사부부, 멕레 목사를 파송함으로 함경도 중심의 선교를 시작하였다.

7) 영국성공회 : 1890년 콜페 감독을 조선선교사로 파송하였고, 1891년 9월말 제물포에 최초 성공회 교회당을 건축하였다.

8) 감리교 : 남감리회는 1896년부터 선교를 시작하였고, 윤치호의 역할이 컸다. 그는 한국의 근대인물 중 신학을 공부한 첫 인물이었다.

 

12. 해외 교회의 한국 선교에 관하여

초기 선교정책은 '문화주의 선교'(서구 문화의 의료, 교육 서양과학 등을 도입)

청일전쟁 이 후, 기독교인들 급증.

 

1) 선교지역 답사와 순회전도

순회전도(순행전도). - 언더우드 방식, 1887부터

입국금지 시에는 매서전도(권서전도, 매서인, 권서인) - 허드슨테일러 방식

2) 네비우스 선교정책 - [ 3자 ] - 자립, 자치, 자전

특징 - 성경중심(최초의 부흥사경회는 1890, 17인으로 시작), 자급, 자전, 자치(최초의치리기구는 1907년. 한국장로교 총회는 1912년 조직 됨.)

3) 장로교 선교공의회 - 선교정책은 주로 하층계급의 사람들을 겨냥함.

4) 선교지역 분할정책

1892 장로교 공의회 조직됨. 선교지역을 분할하여 선교함 - 교계예양, 예양협정.

미국북장로 - 평안도, 황해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미국남장로 - 전라도, 충청남도 일부, 제주도

캐나다 - 함경도, 간도

호주 - 부산, 경남 일대

5) 교역자 양성정책

1896년 이눌서(레이놀드)의 [토착목회자 양성]에 제시된 '교역자 양성 7원칙'

- 단기교육 / - 선교사와 동등한 봉급 대우하지 말 것

- 초창기 외국유학 안됨 / - 성령의 사람

- 기독교 진리에 뿌리 / - 예수의 군병

- 문화수준 발전 후 교역자 질 높임

 

후일 평양신학교의 교육원칙

- 영적인간 / - 성경가르침

- 목사교육정도를 한국인 지적수준에 상응하도록

6) 교육, 의료 등을 통한 선교정책

전도, 교육, 의료는 사도시대 이후 고전적 의미의 선교의 3대 분야

구스타브 바르넥 - "선교사들은 서구 문화의 전차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