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신학] 데살로니가전서에 나타난 재림 (및 최종 파루시아)의 개념
살전 4:13-18절은 전통적으로 믿어온 예수님의 미래의 재림 (the Parousia)을 가리키는가? 아니면 주님의 (미래의) 재림의 긴박성에 대해 주후 70년 사건으로 바울이 대답하고 있는가? 이 문제에 대해 우리는 살전의 주요 대적들은 디아스포라의 유대인들임을 기억해야 한다. 살전 4:13-18과 관련하여, '파루시아' (parousia, 4:15; 주의 강림)라는 말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다. 한편으로, 혹자는 이 파루시아라는 용어가 헬라-로마의 황제의 도착과 방문에서 기원한 것으로 본다. 이 이론에 근거한다면, 바울은 지금 교회가 지상의 장소로 방문하는 주님을 맞이하는 것을 말한다. 파루시아 외에도 살전 4-5장의 두 표현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정치적 함의'로 인해 우리의 주목을 요한다:
(1) 만남 (apanteisis; 살전 4:17): 이 말은 왕이나 왕에 의해 파견된 사람이 어떤 도시를 방문할 때 축제적인 분위기에서 격식을 갖춘 회동을 의미하는 전문용어 (technical term)이다. 따라서 이 용어는 바울에게 있어 주님이 오실 때에 주님을 잔치로 환영하는 것을 묘사하는 중요한 용어이다. 데살로니가 교회 당시에, 살아있거나, 이미 죽었거나, 일으켜졌거나 간에 데살로니가교회 공동체는 주님이 오실 때, 마치 한 성의 대표들이 황제가 도착할 때 그를 만나러 성밖에 나가듯이, 주님을 맞이할 것이다 (참고 Lattke, 1990:14-15).
(2) 평안과 안전 (살전 5:3): 정치적인 구호로서, 살전 5:3절의 '평안과 안전' (= pax et securitas)은 로마제국의 선전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인다. 이 말로서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바울은 로마의 거짓 평화와 안전을 분쇄할 사건으로서의 주님의 날의 도래를 의도한다. 여기서 우리는 데살로니가 교회의 2차적인 대적은 로마제국이었음을 (적어도 암시적으로) 알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혹자는 파루시아는 구약과 유대 묵시문학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특히 구약 선지서의 크고 두려운 여호와의 날과 관련하여 하나님이 오시는 것과 관련짓는다. 이들의 주장의 근거는 헬라-로마 황제의 방문-파루시아의 의미와는 달리, 살전 4:13-18절 전체는 하나님께서 죽은 성도를 데리고 오시는 것이지, (말하자면 로마 황제와 같은 귀한 손님이신) 예수님을 하늘에서 데리고 지상으로 모셔오는 것이 아니다는 것이다 (특히 14절).
단정지어서 이 둘 중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쉽지 않지만, 아마도 바울은 헬라로마 세계의 파루시아의 의미 (황제나 고관의 어떤 도시로의 방문)와 유대-구약의 묵시적인 의미 모두를 자신의 방식대로 발전시켜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전자가 더 설득력 있어 보인다. 왜냐하면 스피크 (Spicq, 1996:53-55))에 의하면, parousia (파루시아)는 종종 어떤 사람의 도착과 방문을 의미한다고 한다 헬라시대에는 이 말이 신적인 현현을 의미하든지 (참고. 살후 2:8; 딤전 6:14; 딤후 4:1, 8; 딛 2:13) 아니면 한 권위있는 사람의 방문을 의미한다. 물론 파루시아는 예수님의 미래의 종말론적인 오심을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기독교 이전의 문헌에서 이런 용례는 없다.
오히려 파루시아라는 이 전문용어는 어떤 중요한 인물의 방문을 의미한다. 실제로 바울은 파루시아라는 말을 주님의 오심보다는 더 자주 자신의 현존과 방문을 가리키는데 사용한다 (고전 10:10; 빌 1:26; 2:12; 고전 16:17; 고후 7:6-7). 편지를 통한 바울의 파루시아 (현존)은 그의 신체적인 부재를 극복하기 위한 차원이었다. 이 용어가 등장할 때 문맥을 고려해야지 무조건 주님의 재림에 적용하면 안 된다. 살후 2:3절의 '아포칼립시스'와 2:9절의 '파루시아'는 데살로니가 교인들 당시의 불법의 사람의 도래인데 예수님의 오심에 대한 페러디이다 (참고 살후 2:9; 계 13:1, 13-14). 신약의 파루시아는 주로 헬라-로마의 황제의 어떤 도시의 방문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기에 이것은 일회적이 아니라 반복적이며, 미래적인 것이 아니라 그 당시적 (1세기적)이다. 물론 the Parousia (미래적인 주님의 최종 재림)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살전에서 묘사된 주님의 파루시아는 고난 중에 있어 위로가 필요했던 데살로니가 교회를 영적으로 방문하사 대적을 물리치시는 신원의 차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70년 사건과도 관련된다. 비록 데살로니가는 그리스의 도시이지만 그곳의 디아스포라는 여전히 예루살렘과 관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신학과 성경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찬(그리스도인)의 세례적 신분 (Baptismal identity of Christian) (0) | 2014.06.23 |
---|---|
바울의 교회 & 하나님 나라 이해_교회론 (0) | 2014.06.23 |
바울의 종말 이해_종말론 (0) | 2014.06.16 |
바울신학_바울의 율법 이해 (0) | 2014.06.16 |
예수님의 부활에 반대하는 입장 세가지와 예수님이 부활하신 것에 대한 5가지 증거 (0) | 2014.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