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루살렘에서 안디옥으로
복음전도의 불꽃은 예루살렘에서 일어나기 시작했다. 마가의 다락방에서 성령을 받은 이후로 계속해서 이 불길은 엄청난 힘으로 번져갔다. 이때 박해를 받던 성도들은 흩어져서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다. 주님의 지상명령이 실천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래서 이 전도운동은 팔레스틴 서부, 지중해 연안을 따라 북상하면서 주로 유대인들에게 전파되었고 안디옥에 와서 본격적인 이방선교가 시작됐다.
2. 안디옥에서 로마로
하나님은 안디옥 교회를 세계선교의 제1차 기지로 사용하시면서 본격적인 세계복음전도운동을 위하여 바울 일행을 세우셨다. 바울의 3차에 걸친 전도 여행은 유럽으로 복음을 진출시켰는데 이때 성령의 강한 인도가 있었다. 성령께선 다른 곳으로의 복음진출을 미루게 하시고 복음이 로마로 들어가게 하셨다. 로마는 그 위치와 문화적 특색, 사용하는 언어등 모든 면에서 지중해 연안 제국에 복음을 쉽게 확산시키는 전략적 기지 역할을 하기에 충분했고, 기독교의 세계정복을 위한 준비 도구가 되었던 것이다. 로마의 교회는 계속되는 박해 속에서도 꾸준히 성장해 나갔고 313년 콘스탄틴 대제가 밀라노 칙령을 선포해 기독교를 인정했고 국교화했다.
3. 로마에서 영국으로
유럽교회는 6-13세기에 걸쳐 아일랜드와 영국 등이 선교의 사명을 감당하면서 계속 성장해 왔으나 유럽외의 세계에선 선교의 능력을 나타내지 못했다. 이 유럽교회가 세계를 향하여 선교하게 된 것은 16세기경부터 시작된 유럽제국의 해외확대와 식민지 확보운동과 더불어서 교회확장 운동이 진행되면서였다. 영국은 17세기 뉴잉글랜드 복음선포회 등이 조직되어 선교운동의 싹이 트기 시작한 후 웨슬레의 대각성 부흥운동을 통하여 선교운동이 일어났다. 그 후 영국의 윌리엄 케리가 본격적인 근대선교운동의 역사를 열었고, 영국교회는 19세기 근대 선교사의 한 세기에 주역으로 쓰임을 받았다.
4. 영국에서 미국으로
북미에 복음이 전해진 것은 16세기 후반으로 유럽의 식민지운동에 편승해 전해졌다. 미주 지역에 식민지를 건설한 나라는 여러 나라가 있었으나 17세기 말엔 대부분 영국 식민지가 되어 영국교회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온 청교도 순례자들이 이곳에 거주하여 그들의 복음전도의 열정을 쏟아 붓기 시작했다. 하나님은 유럽의 혼란한 상황 가운데서 선교의 동력을 미국이란 곳에 옮겨 심어 급속히 성장시키셨다. 미국교회는 계속되는 부흥운동을 경험했다. 그래서 이들은 일꾼들을 하나님의 추수하는 밭에 보냈고 세계적인 선교기관 재정후원을 함으로써 선교시대의 주역으로 부상했다.
5. 다음은 어디로?
그러나 이제 유럽과 미국교회가 쇠퇴하고 있는 동안 제3세계교회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아시아교회는 눈부신 성장을 하고 있다. 세계5대륙 중 복음화가 가장 뒤진 곳이 아시아이며 전 인구의 3%만이 기독교인인데도 불구하고 선교의 열정은 오히려 아시아에서 일어나고 있다.
6. 아시아의 대표선수는 누구인가?
1970년대 후반부터는 한국교회에 세계인이 주목하기 시작했다. 세계교회사상 유례없는 부흥이 한국교회에 일어났고 한국의 경제 또한 기적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선교관계자들은 이제 한국교회에 기대를 걸기 시작했다. 지도를 펴놓고 보면 예루살렘에서 시작된 복음운동은 서진하여 미국으로 갔고 이제 태평양을 건너 아시아로 흐르고 있다. 지금 한국교회는 영적으로 가장 어두운 아시아 대륙의 선교사명을 받으려하고 있다. 세계선교역사의 촛불은 이미 한국교회의 촛대 위에 꽃혀 있다.
'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종교개혁(A.D. 1517-1648)_제1장 기본적 주제들_필립 샤프 (0) | 2014.10.12 |
---|---|
독일종교개혁(A.D. 1517-1648) (0) | 2014.10.04 |
자연적교회개발(성장)_ 건강한 교회를 만들기 위한 10가지 실천단계 (0) | 2014.07.29 |
[교회성장학] NCD 자연적 교회성장학 (0) | 2014.07.29 |
교회성장의 네가지 측면과 교회성장의 7대 원리 (0) | 2014.07.29 |